중증 장애인 재택 근무 구축…예체능·콘텐츠 활동을 통한 사회 진출 장려
[프라임경제] 오는 4월20일은 제44회 ‘장애인의 날’이다. 이를 앞두고, 중증 장애인을 위한 ‘재택형 고용 모델’을 비롯한 다양한 지원 사업이 사회 전반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다. 단순 고용을 넘어, 부양 가족의 삶의 질 개선과 문화 확산까지 이끌어내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 숫자에 가려진 현실…참여가 해법
우리나라는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에 대해 장애인 의무 고용을 규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100인 이상 기업은 전체 인원의 3.1% 이상을 장애인으로 채용해야 한다. 이를 이행하지 않으면 고용부담금을 납부해야 한다. 하지만 많은 기업이 여전히 고용보다 부담금 납부를 선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도 2023년 기준으로 전국 176만여 개 기업 중 장애인을 고용한 곳은 3.3%인 5만9000여 개에 불과하며, 전체 상시 근로자 중 장애인 비율은 1.55%에 그친다.
(…)
◆ 고용이 만든 변화, 문화로 확산
많은 기업들이 장애인 고용을 기업 이미지와 연결된 지속 가능한 모델로 발전시키고 있다.
예를 들어, 장애인이 기업의 브랜드 가치를 주제로 그림을 그려 정기 보고서나 전시 콘텐츠로 활용하거나, 사내 문화 행사에 참여하는 방식이 확산되고 있다.
현재 약 200여개 국내 기업이 이 모델을 도입 중이다. 해외의 경우 미국은 4만여개 장애인 고용 기반 조직을 보유한 반면, 한국은 약 1만2000개에 머물러 있다. 최근 ESG 경영이 주목 받는 만큼, 더 많은 기업들이 장애인 고용에 관심을 보이고 있어 앞으로도 장애인 고용률은 더욱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 프라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