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의 개념이 점차 많은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유니버설 디자인이란 장애 여부나 나이와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편리하고 공평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제품, 환경, 서비스 설계를 의미합니다. 이 철학은 채용 프로세스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특히, 장애인 고용에 있어 유니버설 디자인이 적용된 사례와 이를 통해 얻는 이점은 주목할 만합니다.
채용 프로세스에서의 적용
포용적인 면접 장소를 마련하는 것에서도 유니버설 디자인이 큰 역할을 합니다. 면접 장소를 휠체어 접근이 용이한 엘리베이터, 경사로, 그리고 적절한 의자가 있는 곳으로 선정하여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지원자가 편안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든지, 면접 질문과 테스트 내용을 시각(자동 자막 생성)/음성 자료(스크린 리더) 등의 다양한 형식으로 제공해 모든 지원자가 동일한 방식으로 정보를 이해할 수 있게 하는 등이 있습니다. 이는 구직자의 접근성을 높여줄 뿐 아니라 기업의 첫인상을 좋게 각인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또한 최근 많은 기업이 비대면 채용 과정을 도입하면서 화상 면접 플랫폼에서의 유니버설 디자인이 중요해졌습니다. 예를 들어, 자막 자동 생성 기능을 탑재한 화상 면접 도구는 청각장애 지원의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또한, 화면 읽기 기능이 내장된 플랫폼은 시각장애인 지원을 강화합니다. 이러한 기능은 단순히 장애인을 위한 것이 아니라 비장애인 면접자에게도 기술적 어려움을 최소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작업 공간 설계에서의 적용
몇몇 글로벌 기업들은 사무실과 생산 현장에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작업 공간을 마련했습니다.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넓은 통로, 조명이 조절 가능한 근무 공간, 소음이 적은 회의실,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책상과 의자 등은 장애인을 위한 환경 개선으로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비장애인 직원의 편의성도 증진시킵니다. 유명한 사례로 제품 조립 작업 공간에 손의 힘이 약한 직원들을 위한 AI 기반 조립 도구를 도입하여 생산성과 포용성을 동시에 높인 사례가 있습니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이점
채용 기회의 평등 보장
유니버설 디자인은 장애를 가진 지원자들이 면접 및 업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 불필요한 제약을 없앱니다. 접근성이 보장되면 장애인들은 자신이 가진 능력과 역량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으며, 이는 채용 기회가 평등하게 제공되는 기반이 됩니다.
업무 환경의 다양성 증대
유니버설 디자인이 적용된 환경은 장애인을 포함한 다양한 배경의 인재들을 수용하는 데 유리합니다. 이는 조직 내 다양성과 포용성을 증진시키며, 서로 다른 관점을 가진 팀원들이 협력해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결과를 만들어낼 가능성을 높입니다.
직원 만족도 및 생산성 향상
포용적인 작업 환경은 장애인 직원뿐만 아니라 비장애인 직원과 중장년층 직원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인체공학적 설계가 적용된 의자나 조명은 모든 직원의 신체적 피로를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킵니다. 이로 인해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기 위한 설계가 조직 전체에 이익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브랜드 이미지 및 사회적 책임 강화
유니버설 디자인을 채택한 기업은 포용적 고용을 실현하며, 이를 통해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이라는 평판은 소비자와 투자자들에게도 매력적으로 다가옵니다.

유니버설 디자인은 장애인을 위한 특별한 혜택이 아니라 모두를 위한 공통의 혜택입니다. 채용 과정부터 작업 환경까지 이러한 설계 철학이 적용될 때, 장애인은 자신감을 가지고 능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조직은 다양성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장애인 고용을 늘리고, 모두가 함께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유니버설 디자인은 단순한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전략으로 자리 잡아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