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currently viewing 뇌성마비란 무엇인가?

뇌성마비란 무엇인가?

  • Post author:

뇌성마비의 정의


  뇌성마비는 하나의 질병이 아니라 비슷한 특징을 가진 증후군들을 집합적으로 일컫는 개념입니다. 출생 시 또는 출생 후 미성숙한 뇌에 손상이 발생하여 운동과 자세의 장애를 보이게 되며, 일부 유형은 성장함에 따라 증상이 변화할 수 있습니다.

  뇌성마비는 증상의 심한 정도에 따라 경증(mild), 중등도(moderate), 중증(severe)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또한, 부위에 따라 하나의 상지 혹은 하지가 마비된 단마비, 한쪽 상하지가 모두 마비된 편마비, 사지에 모두 증상이 있으나 하지가 뚜렷하게 심한 하지마비, 양쪽 하지와 한쪽 상지에서 증상을 보이는 삼지마비, 모든 사지가 비슷한 정도의 증상이 있는 사지마비로 분류하기도 합니다. 또는 신경운동형에 따라 경직형, 무정위운동형, 강직형, 진전형, 운동실조형, 이완형, 혼합형으로 나누기도 하며, 운동장애형에 따라 긴장형, 근긴장이상, 무도병형, 발리스무스로 나눌 수도 있습니다.

뇌성마비의 증상


  뇌성마비의 정의상 뇌손상은 더 이상 진행되거나 개선되지 않습니다. 다만 신체적인 증상은 시간에 따라 끊임없이 변하게 됩니다.

  가장 흔한 형태는 경직성 마비입니다. 근육이 경직되어 골격계의 변화가 일어나며, 보통 상지보다 하지의 경직이 더 심합니다. 마비 양상에 따라 보행 양상이 변화되며 지능에는 장애가 없어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운동 장애형은 경직형과 달리 상지에 증상이 심한 경우가 더 많습니다. 그래서 75%의 환자는 보행이 가능합니다. 운동장애형과 경직형이 혼합되어 사지에 모두 증상을 보이는 혼합형 환자의 50% 정도는 보행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뇌성마비 장애인의 취직


  업무와 관련된 뇌성마비 장애인의 4가지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복잡하고 순서화된 동작을 어려워합니다. 지시에 따른 행동을 수행할 수 없을 수 있고, 복잡한 공간이나 입체의 인지가 힘들 수 있습니다.
  • 자신의 의사와 관계없이 신체 일부가 움직이거나 떨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동작을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고 넘어지는 일도 있습니다.
  • 대화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실어증이나 발성장애를 동반하는 경우는 타인과 말하기 힘들며, 쓰기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필담도 어렵습니다. 커뮤니케이션에 지장이 생겨 지시를 전달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 시력장애를 같이 가지고 있어 시야가 온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뇌성마비의 증상과 위 특징들을 바탕으로 취직 시 고려해야 할 점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통근의 용이성

  보행이 힘든 경우가 있고, 이동에 있어 임기응변이 어려운 뇌성마비 환자가 많기 때문에 통근의 용이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장거리 출퇴근이나 만원 전철 등은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근무 형태

  자율 출퇴근제나 유연 근무제, 재택 근무 등 컨디션을 조절하기 용이한 근무 형태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통근의 부담이 줄어듭니다.

배리어 프리 설비

  충분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설비가 갖춰져 있다면 더욱 업무를 하기 쉬워질 것입니다.

  뇌성마비 장애인에게는 격렬한 운동이나 섬세한 동작이 적고 앉은 채로 업무가 가능한 직종을 추천하지만, 전화 대응/방문객 대응 등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근무 환경이 잘 조성되어있는 장애인 특례 자회사도 좋은 선택지입니다. 따라서 추천 직종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사무직 전반: 총무, 경리, OA사무, 데이터 입력 등
  • 웹 제작: 웹 디자이너, 웹 마케터 등
  • IT 기술: SE, 프로그래머, 네트워크 엔지니어 등

참고:

서울대학교병원 N의학정보

doda.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