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currently viewing 함께 오래 일할 수 있는 사회를 위하여

함께 오래 일할 수 있는 사회를 위하여

  • Post author:

시작의 문은 열려도 길은 이어지지 않는다


  장애인에게 일은 단순한 생계 수단이 아니라 사회적 관계를 맺고 역할을 수행하는 의미 있는 활동입니다. 초기에는 비교적 다양한 진입 경로가 존재합니다. 특수학교 졸업 후 직업재활시설이나 일경험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에 첫발을 내딛고,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과 공공기관은 장애인 고용 의무제를 통해 채용의 문을 열고 있습니다. 그러나 고용 이후의 경로는 여전히 단절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근속 기간이 짧거나 경력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흩어지는 사례도 적지 않습니다. 일자리는 있으나 흐름은 끊기고 다음 단계를 이어가기 어려운 현실입니다.

오래 일하고 싶지만 여건이 따라주지 않을 때


  시간이 지나면서 고용의 형태는 더 유동적이고 불안정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건강 상태나 가족 돌봄 등의 개인적 요인은 물론, 제도적으로도 직무 전환이나 재직 중 훈련 기회가 제한적이기 때문입니다. 변화하는 삶의 조건에 맞춰 일자리를 유지하고 이어가는 것이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누구나 노동시장에서 불안함을 경험할 수 있지만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이러한 불확실성을 더 일찍, 더 자주 마주하게 됩니다.

일의 끝자락에서 다시 문을 두드릴 때


  일을 계속하고자 하는 마음은 나이가 들어도 쉽게 사라지지 않습니다. 하지만 은퇴 이후 다시 일할 수 있는 기회는 극히 제한적입니다. 주어진 선택지는 단순 노무 중심의 공공일자리에 국한되는 경우가 많고 국민연금이나 퇴직연금 등 안정적 소득 기반이 부족한 경우도 많습니다. 이처럼 고용의 마지막 장면에서 마주하게 되는 제약은 일의 의미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만듭니다. 단절이 아닌 연결을 위한 여지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일과 함께 나이 들 수 있는 사회를 그리며


  지금까지의 장애인 고용 논의는 ‘처음’에 집중되어 온 경향이 있습니다. 입직의 문턱을 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 이후의 삶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적었습니다. 그러나 고용은 한순간의 사건이 아니라 삶 전체를 관통하는 여정입니다. 일은 그 자체로 목적이기보다 나이 들며 사회와 맺는 관계의 한 방식이 되기도 합니다. 일은 멈출 수 있어도 삶은 계속되며, 그 삶이 존중받기 위해서는 고용의 지속 가능성이 필요합니다. 누구나 일과 함께 나이 들 수 있도록 고용과 복지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설계가 필요한 때입니다.